2024-04-11 오후 12시 30분 할리스 카페

오늘의 일이 미래를 결정한다.

오늘을 바꾸지 않는 한 미래는 오늘보다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당신의 미래는 당신이 지금 하는 일을 반영한다. 당신의 지금 행동이 바로 미래의 당신 자신이다.

미래에 성공한 나를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나는 만족했다. 지금 해야할 일을 하지 않아도 위안이 되었다. 내일은 다르겠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문장을 보고 느꼈던 건 미래는 상상하는게 아니라 지금이 반영되는 것뿐이라는 걸.


보상심리를 자극하기

프리맥의 원리에서는 당신이 원하는 어떤 행동을 하기 위해서는 그것보다는 덜 내키는 행동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차고를 청소하기 싫지만, 끝내고 나서 가장 좋아하는 음료수를 마실 수 있다면 청소를 할 것이다. 하고 싶은 행동을 통해서 하기 싫은 행동에 대해 보상하는 것이다. 이 원리에 따르면, 내키는 행동은 덜 내키는 행동을 강화한다.

확실히 좋은 방법인 것 같다. 내가 하고 싶은 걸 끊기 힘든 사람들은 이 방식을 통해 우선 하기 싫은 일부터 한 후 보상으로 하고 싶은 일을 주어지게 한다면, 마치 게임을 하는 것 같은 느낌을 줄 것이다.


패배적인 생각에서 벗어나기

미루기는 언제나 생각으로부터 시작된다. ‘나는 이 일을 절대 해내지 못할 거야’ 또는 ‘나는 할 일이 너무 많아. 희망이 없어’라고 생각할 때, 당신은 이미 실패할 준비를 하고 있다.

내가 이 일을 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은 자주 든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더 열심히 안하는 것 같기도 하다. 알고보면 사실 미루기 위한 그냥 변명에 불과한 생각이라는 걸 이 문장을 보고 알게 되었다. 앞으로 이러한 생각이 들면 나는 아 또 미루기 위해 변명을 하는 구나 라고 생각을 해야겠다.


생각하는 관점 바꾸기

“당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해, 당신은 자신을 딱하다고 느낄 수도 있고, 일어난 일을 선물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모든 것이 성장의 기회일 수도, 성장을 방해하는 장애물일 수도 있다. 당신은 그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웨인 다이어

어떤 일이 발생할때 그것을 바라보는 시선이 어떻냐에 따라 삶을 바라보는 방식이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다. 요즘 언어로 흔히 말하는 억까? 라고 하던가.


인생은 원래 힘들다

인생에서 유일하게 보장된 것은 인생이 힘들다는 것뿐이다. 성공은 절대로 보장되지 않지만, 거기에 도달하기까지 힘든 시간을 겪을 것이라는 점만은 보장되어 있다.